Geologist란 누구인가? 야외지질조사를 위한 체크리스트 more 자신이 geologist인지를 확인하는 10가지 질문 more 지질학적인 죠크 1 more 야외에서 geologist를 구분하는 방법 more 지질학 Geology 현대 지질학의 아버지 제임스 허튼 2025.06.06 가장 큰 양서류는? 2025.05.16 공룡들도 손톱을 물어뜯었을까? 2025.04.19 more 석유와 천연가스 베트남 Song Duc 유전 철거중 화재 오늘 기사를 보는데 베트남 유전에서 철거중에 화재가 발생한 것이 나오네요.이 유전은 베트남 남서부 까마우쪽에 있는 녀석입니다.이미 2023년말에 생산을 종료하고 철수를 위해 플랫폼을 청소하던 중에 화재가 발생을 한 것입니다. 제가 근무하는 E&P 그러니까 원유나 천연가스를 찾고 생산하는 분야는 이래저래 위험한 곳에서 작업을 합니다.그래서 다른 산업분야들 보다 확연히 높은 안전기준과 관련 규정들을 준수하고 있습니다. 다행히 이번 화재는 30분만에 종료가 되었고, 사망 1명과 부상자가 9명이 나왔다고 합니다.비록 생산이 중단되었다고는 하지만 플랫폼 시설물에 탄화수소 그러니까 원유나 가스등이 남아있었으니 조심했었어야 했습니다.아래 링크 동영상을 보시면 사람들이 탈출하는 것이 나오네요. 에궁 저도 현.. 댓글 0 2025.05.24 2023년 국가별 화석연료 소비량 이전 포스팅에서 이야기했듯이 아직도 인류는 화석연료에 많은 의존을 하고 있습니다. 2023년 화석 연료 소비량은 전 세계적인 재생 에너지 붐에도 불구하고 중국의 석탄과 석유 사용 증가로 인해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가스, 석유, 석탄을 합친 세계 화석 에너지 비율은 81.5%로 2022년의 82%보다 약간 감소했지만 여전히 높은 비율이죠. 아래 그림은 2023년 화석 연료 소비 상위 12개 국가를 보여줍니다. 데이터는 2024년 6월에 발표된 에너지 연구소의 2024 세계 에너지 통계 검토(2024 Statistical Review of World Energy)에서 가져온 것입니다. 위의 그림에서 볼 수 있듯이 중국과 미국이 전 세계 화석 연료의 거의 절반(47%)을 소비하고 있습니다.2023.. 댓글 2 2024.09.21 천연가스 생산량 순위 (2023년 기준) 천연가스는 전 세계가 탄소 없는 경제로 전환하는 과정에서도 중요한 에너지원입니다. 특히나 신재생에너지들 (태양열, 풍력 등)의 간헐성을 보완하는 에너지원의 역할이 큽니다.덕분에 요사이 석유회사들은 원유보다 천연가스 탐사/개발에 더 힘을 쓰고 있다죠.Energy Institute에 따르면 전 세계 천연가스 생산량은 2022년 4조 4,400억㎥에서 2023년 4조 5,500억㎥로 소폭 증가했습니다. 미국은 2023년 천연가스 생산량이 2% 증가한 반면, 러시아의 천연가스 생산량은 같은 기간 유럽으로의 수출 감소로 5.2% 감소했습니다. 러시아는 여전히 세계 2위의 천연가스 생산국이자 2위의 천연가스 수출국이지만, EU는 우크라이나와의 전쟁으로 인해 2027년까지 러시아산 천연가스 공급을 단계적으로 중.. 댓글 2 2024.08.27 CO2와 CCS 에너지 전환에 대한 다른 시각 요사이 소위 ‘에너지 전환의 시대’를 살고 있다는 말을 많이 듣고 있습니다. 하는 일도 그렇고 해서 (응?) 관심있게 관련 기사나 정책들을 보는 편입니다. 그러면서 들었던 생각은 요시이 언급되고 진행되는 에너지 전환 영어로 Energy Transition이라는 용어의 정의가 기존 에너지 업계의 생각과는 다르다는 것입니다. 제가 이해했던 에너지 전환은 (1) 매우 천천히 이루어지고, (2) 세계적으로 동시에 일어나지 않고, (3) 어떤 에너지가 완전히 다른 에너지를 대체하지 않는다 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실제로 아직도 지구의 한쪽에서는 목재를 이용해서 취사와 난방을 하고 있는 동시에 한쪽에서는 (실제로는 불가능하지만) 재생 에너지 100%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죠. 얼마 전까지 나무가 주 에너지원이었.. 댓글 0 2025.08.30 CCS 기사를 하나 읽다가 든 생각 인터넷을 뒤지는데 문득 기사 하나가 보입니다. 네네 실제로는 앱이 ‘아마도 너와 관련이 있어’ 하는 식으로 물어다 준 것이죠. 짧은 기사라서 내용을 휘리릭 보는데 문득 생각이 하나 듭니다. 일단 기사 내용은 해외 메이저 석유기업들이 동남아에서 기존 유가스전 개발에 CCS를 도입해서 저탄소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울 나라도 동남아에 유가스전을 개발하고 있지만 CCS와 연계는 기술력이 부족해서 메이저들과 손을 잡아서 추진해야 한다. 뭐 이런 내용입니다. 이쪽 분야가 우리나라에서는 별로 발달하지 않다보니 관련 전문가들도 부족하고 특히나 가끔 한국 신문 등에 나오는 기사들을 보면 실로 당황스러울 때가 많은 것이 사실입니다. 이 기사도 나름 이런저런 정리를 했는데 ’방향성’이 잘못되었다는 생각입니다. 이러한 잘못.. 댓글 0 2025.08.13 러시아 형님들이 수소를 만드는 신박한 방법 요사이 전세계 경기도 별로이고 트럼프 대통령의 정신없는 플레이로 지구의 기온을 일정이하로 컨트롤 하기 위한 넷제로 관련 움직임이 느려지고 있습니다.뭐 당장 돈이 되지 않고 오히려 우리의 미래를 위해 각 사람들이 어느 정도 손해를 감수해야 하는 그런 일이니 쉽지는 않을 것 같습니다. 이런 넷제로(Net Zero) 즉 이산화탄소 배출만큼 상쇄시켜 지구 기온 상승을 억제하는 노력은 여러가지 방법이 있습니다.CCS가로 하는 탄소포집 및 저장, 태양열/풍력과 같은 에너지 전환 등등 말이죠. 이런 방법 중에 하나가 수소입니다.수소를 연료로 사용하는 차를 만든다든가 비행기나 선박, 기차와 같은 큰 기기들을 수소를 이용해서 움직이는 것이죠.수소는 연소를 하고 나면 물이 나오니 지구 대기중으로 CO2 등이 나가지 않습.. 댓글 2 2025.04.19 외국 사는 이야기 선생님의 전기차 2025.02.12 예멘 사나 공항을 이스라엘이 폭격했네요. 2024.12.27 즐거운 성탄절 되세요 2024.12.24 more 인기 포스팅 2023년 국가별 화석연료 소비량 more 다이아몬드보다 더 단단한 광물 more 천연가스 생산량 순위 (2023년 기준) more 이 세상에서 가장 복잡한 광물 Ewingite more